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기출문제 및 정답 자료 입니다.
청소년상담사란 청소년기본법(제22조제1항)에 따라 실시되는 청소년 상담과 관련된 국내 유일의 국가자격증으로,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청소년상담사 연수기관에서 실시하는 100시간이상의 연수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여성가족부장관이 부여하는 국가자격증입니다.
제22회 청소년상담사 2급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기출문제
51.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원이다.
② 전체 행동이 아니라 표집된 행동으로 구성된다.
③ 심리적 구성개념을 직접 관찰하기 위한 도구이다.
④ 표준화된 방식으로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한다.
⑤ 검사를 통해 내려지는 결론은 항상 오류가능성을 내포한다.
52. 웩슬러(D. Wechsler)가 초기 지능검사를 개발할 때 사용한 개념으로서 해당 연령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IQ로 환산하는 것은?
① 비율 IQ
② 평균 IQ
③ 편차 IQ
④ 오차 IQ
⑤ 규준 IQ
53. 종합체계 방식에서 엑스너(J. Exner)가 이전의 접근방식들을 통합할 때 적용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신경심리학적으로 유용한지 여부를 강조하였다.
② 로샤(H. Rorschach)의 전통적 채점 방식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③ 정량적인 분석보다 정성적인 분석을 더 강조하였다.
④ 경험적으로 근거를 가지고 실증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⑤ 정신분석적으로 해석가능한지 여부를 강조하였다.
54. 심리평가를 위한 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심리검사보다 비구조화되어 신뢰도가 높다.
② SCID(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는 반구조화된 면담도구이다.
③ 심리검사보다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가 더 뚜렷하다.
④ 행동관찰보다 ‘지금-여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한다.
⑤ 일반적인 대화처럼 목표를 두지 않고 편안하게 진행된다.
55. 웩슬러(D. Wechsler)가 검사배터리를 처음 개발할 당시에 문항을 차용한 도구를 모두 고른 것은?
ㄱ. 비네-시몽(Binet-Simon) 척도
ㄴ. 군대용 α(Army Alpha) 검사
ㄷ. 군대용 β(Army Beta) 검사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6. 행동관찰에서 사용되는 기록방법 가운데 ‘이야기식 기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관찰을 수량화하기 어려우며 타당도가 낮다.
ㄴ. 정해진 시간 내에 사건이 일어나는지 기록한다.
ㄷ. 특정한 행동에 대해 척도 상에 값을 평정하게 된다.
ㄹ. 관찰 이후 특정 행동을 구체적 영역에서 양적으로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57. 벤더도형검사 2판(BGT-II)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동과 성인에게 모두 실시할 수 있다.
② 지각-운동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③ 1판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7개의 도형들이 추가되었다.
④ 기질적 뇌장애로 해석할 수 있는 특정한 반응들이 구체화되어 있다.
⑤ 항목별 5점 척도로 평정하는 채점 체계를 갖추었다.
58. 신경심리검사에서 레이-오스테리스 복합도형(Rey-Osterrieth complex figure)을 활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인지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각능력
② 시각주의력
③ 시각기억력
④ 구성능력
⑤ 범주유창성
59. 로샤(Rorschach)검사에서 나타난 아래 반응들 중 종합체계 방식에서 반응 내용으로 ‘Hh’가 부여되는 것은?
① “밤하늘 불꽃놀이가 보여요.”
② “태양이 환하네요.”
③ “램프 안에 불이 타올라요.”
④ “비행기가 발사되네요.”
⑤ “엑스레이 사진 같아요.”
60.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에서 람다(L; Lamda) 값이 시사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경험에 대한 개방성 수준
② 사람에 대한 관심의 정도
③ 최근 스트레스를 경험한 정도
④ 정서를 조절하고 표현하는 경향
⑤ 방어전략으로 주지화를 사용하는 정도
61. 각 검사별 실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로샤(Rorschach)검사: 연상 단계에서 반응 수가 14개 이하이면 질문단계가 아닌, 한계검증 단계로 넘어간다.
② 로샤(Rorschach)검사: 질문단계는 반응의 영역, 결정인 및 내용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한다.
③ 주제통각검사(TAT): 전체 카드 가운데 수검자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일부 카드를 선정 하여 실시한다.
④ 문장완성검사(SCT): 제한 시간은 없으나, 가능한 빨리 문장을 완성하도록 지시한다.
⑤ 집-나무-사람(HTP) 검사: 나무를 그리는 단계에서는 종이를 세로로 제시한다.
62. 머레이(H. Murray)는 주제통각검사(TAT)의 수검자 반응을 ( ㄱ )과(와) ( ㄴ )의 측면 에서 분석하는 해석체계를 제시하였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ㄱ: 동일시, ㄴ: 투사
② ㄱ: 주인공, ㄴ: 내용
③ ㄱ: 콤플렉스, ㄴ: 대처
④ ㄱ: 갈등, ㄴ: 방어
⑤ ㄱ: 욕구, ㄴ: 압력
63.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의 소외지표(Isolation Index)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표를 계산할 때 순수형태 반응의 수가 필요하다.
② 식물, 구름, 지도, 풍경, 자연의 다섯 가지 범주들의 반응 수가 지표 계산에 사용된다.
③ 현실을 지각할 때 왜곡되어 있는 정도를 알려준다.
④ 자살지표(S-CON)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⑤ 구조적 요약 가운데 자기지각 영역에 포함된다.
64. 심리검사 도구와 평가목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K-WISC-V: 지능 및 인지능력
② MMPI-2: 주요 정신병리
③ Rorschach: 지각 및 통각과정
④ NEO-PI: 16가지 성격차원
⑤ TAT: 대인관계의 역동
65. 습관적 수행(typical performance)을 측정하는 검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업적성검사
② 스트롱-켐벨(Strong-Campbell) 흥미검사
③ 카텔(R. Cattell)의 16PF
④ PAI
⑤ MMPI-A
66. 심리검사 제작 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ㄱ. 검사방법의 결정
ㄴ. 검사내용의 정의
ㄷ. 문항개발
ㄹ. 사전검사 실시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ㄷ → ㄴ → ㄹ
③ ㄱ → ㄹ → ㄷ → ㄴ
④ ㄴ → ㄱ → ㄷ → ㄹ
⑤ ㄴ → ㄷ → ㄱ → ㄹ
67. IQ 분포와 T 점수 분포의 값들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IQ 115의 상대적 위치는 T 점수 65와 같다.
② T 점수 70은 IQ 120의 백분위와 같다.
③ IQ 70과 T 점수 30의 백분위는 같다.
④ T 점수 40의 상대적 위치는 IQ 90과 같다.
⑤ IQ 85는 T 점수 50의 백분위와 같다.
68. 고등학생 A는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70점을 받았다. 이 검사를 받은 집단의 평균이 60, 표 준편차가 10인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다. 고등학생 A의 점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의 점수에 해당하는 Z 점수는 +1.5 이다.
② A의 점수에 해당하는 T 점수는 60이다.
③ A의 점수에 해당하는 백분위는 75이다.
④ A 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의 비율은 25%이다.
⑤ A의 점수의 신뢰도 구간은 60 ∼ 80점이다.
69. K-WAIS-IV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통성 소검사는 언어적 이해능력을 측정한다.
② 숫자 소검사는 주의 집중력을 측정한다.
③ 지우기 소검사는 선택적 주의력을 측정한다.
④ 기호쓰기 소검사는 시각-운동 기민성을 측정한다.
⑤ 행렬추론 소검사는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을 측정한다.
70. K-WISC-IV에서 동형찾기 소검사가 측정하는 능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의력
② 시각적 추론능력
③ 시각 판별력
④ 시각적 단기기억
⑤ 시각-운동 협응능력
71. K-WISC-IV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이해는 언어이해 지표(VCI)의 보충 소검사이다.
ㄴ. 산수는 작업기억 지표(WMI)의 보충 소검사이다.
ㄷ. 선택은 처리속도 지표(PSI)의 핵심 소검사이다.
ㄹ. 토막짜기는 지각추론 지표(PRI)의 핵심 소검사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2. PAI 심리검사에서 대인관계 척도로 옳은 것은?
① 지배성(DOM)
② 공격성(AGG)
③ 반사회적 특징(ANT)
④ 긍정적 인상(PIM)
⑤ 우울(DEP)
73. MMPI-2에서 F(B)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ㄴ. 검사문항 후반부에 배치되어 있음
ㄷ. 규준집단 중에 응답율이 20% 미만인 문항으로 구성됨
ㄹ. F척도와 함께 고려하여 태도 변화를 알아 볼 수 있음
ㅁ. 실제 정신병적 문제인지 또는 어려움에 관한 과대보고인지를 변별함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ㄷ, ㄹ, ㅁ
⑤ ㄱ, ㄴ, ㄹ, ㅁ
74. 다음 증상들과 연관된 MMPI-2의 임상척도로 옳은 것은?
○ 피로감을 자주 호소함
○ 두통 및 감각 이상을 호소함
○ 특정 신체기관에 관한 어려움을 호소함
○ 스트레스를 겪을 때 신체증상을 보일 수 있음
① 건강염려증(Hs)
② 강박증(Pt)
③ 반사회성(Pd)
④ 내향성(Si)
⑤ 편집증(Pa)
75. 다음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로 옳은 것은?
○ 비현실적인 낙관적 태도를 가진다.
○ 윤리문제에 엄격한 도덕적 태도를 가진다.
○ 타인의 부정적 특성을 부인하며 사람을 의심하지 않는다.
① Sc3
② Sc4
③ Ma4
④ Pa2
⑤ Pa3
제22회 청소년상담사 2급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정답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기출문제 및 정답 자료 입니다. 청소년상담사란 청소년기본법(제22조제1항)에 따라 실시되는 청소년 상담과 관련된 국내 유일의 국가자격증으
exam-of-all.tistory.com
'기출문제 > 청소년상담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집단상담) (0) | 2024.11.13 |
---|---|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진로상담) (0) | 2024.11.12 |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이상심리) (0) | 2024.11.11 |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0) | 2024.11.08 |
청소년상담사 2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0) | 202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