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사회복지조사론)

모두의 시험 2024. 6. 11. 22:44
반응형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사회복지기초 사회복지조사론 기출문제 및 정답 자료 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시설 거주자의 생활지도, 상담업무 등 우리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직업입니다.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모든 이들이 본 자료를 통해 합격의 기쁨을 누렸으면 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제22회-기출문제-정답-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조사론 기출문제

 

26. 과학철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쿤(T. Kuhn)은 과학적 혁명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하였다.

② 쿤(T. Kuhn)은 당대의 지배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을 정상과학이라고 지칭하였다.

③ 포퍼(K. Popper)는 쿤의 과학적 인식에 내재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반증주의를 제시하였다.

④ 포퍼(K. Popper)의 반증주의는 연역법에 의존한다.

⑤ 포퍼(K. Popper)는 이론이란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반증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27. 과학적 탐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떤 경우라도 연구참여자 속이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② 고지된 동의는 조사대상자의 판단능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③ 연구자는 기대했던 연구결과와 다르더라도 그 결과를 사실대로 보고해야 한다.

④ 사회복지조사에서는 비밀유지가 엄격히 지켜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⑤ 연구자는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인해 연구참여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

 

 

 

 

 

 

 

28. 과학적 지식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ㄴ. 연구결과는 잠정적이며 수정될 수 있다.

ㄷ.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판단이 연구과정이나 결론에 작용하지 않도록 객관성을 추구한다.

ㄹ. 같은 절차를 다른 대상에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검토할 수 있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29.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사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ㄱ. 동일한 표본을 대상으로 시간을 달리하여 추적 관찰하는 연구

ㄴ. 일정연령이나 일정연령 범위 내 사람들의 집단이 조사대상인 종단연구

 

① ㄱ: 경향조사, ㄴ: 코호트(cohort)조사

② ㄱ: 경향조사, ㄴ: 패널조사

③ ㄱ: 코호트(cohort)조사, ㄴ: 경향조사

④ ㄱ: 패널조사, ㄴ: 경향조사

⑤ ㄱ: 패널조사, ㄴ: 코호트(cohort)조사

 

 

 

 

 

 

 

 

30. 분석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이혼, 폭력, 범죄 등과 같은 분석단위는 사회적 가공물(social artifacts)에 해당한다.

ㄴ. 생태학적 오류는 집단에 대한 조사를 기초로 하여 개인을 분석단위로 주장하는 오류이다.

ㄷ. 환원주의는 특정 분석단위 또는 변수가 다른 분석단위 또는 변수에 비해 관련성이 높다고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1.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② 통제변수(control variable)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제대상이 되는 변수이다.

③ 독립변수는 결과변수이고 종속변수는 설명변수이다.

④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변수들 간의 관계는 그 속성에 따라 직선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다.

 

 

 

 

 

 

 

32. 영가설(null hypothesis)과 연구가설(research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구가설은 연구의 개념적 틀 혹은 연구모형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② 연구가설은 그 자체를 직접 검정할 수 있다.

③ 영가설은 연구가설의 검정 결과에 따라 채택되거나 기각된다.

④ 연구가설은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차이나 관계가 표본추출에서 오는 우연에 의한 것으로 진술된다.

⑤ 연구가설은 영가설에 대한 반증의 목적으로 설정된다.

 

 

 

 

 

 

 

33. 인과관계 추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독립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인과관계 추론의 일차적 조건이다.

②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는 두 변수 모두의 원인이 되는 제3의 변수로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③ 종속변수가 독립변수를 시간적으로 앞서야 한다.

④ 횡단적 연구는 종단적 연구에 비해 인과관계 추론에 더 적합하다.

⑤ 독립변수의 변화는 종속변수의 변화와 관련성이 없어야 한다.

 

 

 

 

 

 

 

34. 척도의 종류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ㄱ. 종교 - 기독교, 불교, 천주교, 기타

ㄴ. 교육연수 - 정규 학교 교육을 받은 기간(년)

ㄷ. 학점 - A, B, C, D, F

 

① ㄱ: 명목척도, ㄴ: 서열척도, ㄷ: 비율척도

② ㄱ: 명목척도, ㄴ: 비율척도, ㄷ: 서열척도

③ ㄱ: 비율척도, ㄴ: 등간척도, ㄷ: 서열척도

④ ㄱ: 서열척도, ㄴ: 등간척도, ㄷ: 비율척도

⑤ ㄱ: 서열척도, ㄴ: 비율척도, ㄷ: 명목척도

 

 

 

 

 

 

35. 측정의 수준이 서로 다른 변수로 묶인 것은?

① 대학 전공,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② 복지비 지출 증가율, 월평균 소득(만원)

③ 온도(℃), 지능지수(IQ)

④ 생활수준(상, 중, 하), 혈액형

⑤ 성별, 현재 흡연여부

 

 

 

 

 

 

 

 

 

36.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측정은 연구대상의 속성에 대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② 사회과학에서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특질 자체를 측정하기 보다는 특질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③ 보가더스(Bogardus)의 사회적 거리척도는 등간척도의 한 종류이다.

④ 리커트(Likert) 척도는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적인 경향이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⑤ 측정항목의 수를 많게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37. 내적일관성 방법에 근거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검사-재검사법

ㄴ. 조사자간 신뢰도

ㄷ. 알파계수

ㄹ. 대안법

 

① ㄱ

② ㄷ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38.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타당도가 있다면 어느 정도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② 신뢰도가 높을 경우 타당도도 높다고 할 수 있다.

③ 요인분석법은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④ 신뢰도는 측정하려고 의도된 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⑤ 주어진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일련의 전문가가 판단할 때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한다.

 

 

 

 

 

 

 

3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표집용어와 관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A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위하여 노인 이용자명단에서 300명을 무작위 표본추출 하였다.

 

① 모집단: 표본추출된 300명

② 표집방법: 할당표집

③ 관찰단위: 집단

④ 표집틀: 노인 이용자명단

⑤ 분석단위: 집단

 

 

 

 

 

 

 

40. 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의도적표집(purposive sampling)은 비확률표집이다.

② 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동일추출확률에 근거한다.

③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은 질적연구나 현장연구에서 많이 사용된다.

④ 집락표집(cluster sampling)은 모집단에 대한 표집틀이 갖추어지지 않더라도 사용가능하다.

⑤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은 주기성(periodicity)이 문제가 될 수 있다.

 

 

 

 

 

 

 

4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본의 선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② 표집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③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본크기가 클수록 감소한다.

④ 모집단의 크기와 표본크기의 차이를 말한다.

⑤ 동일한 조건이라면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42. 질적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 아닌 것은?

① 판단(judgemental) 표집

② 체계적(systematic) 표집

③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 표집

④ 극단적 사례(extreme case) 표집

⑤ 최대변이(maximum variation) 표집

 

 

 

 

 

 

 

43. 다음 사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문화교육이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 100명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교육 실시 전 두 집단의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고, 한 집단에만 다문화 교육을 실시한 후 다시 두 집단 모두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였다.

 

① 전형적인 실험설계이다.

② 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실험집단이다.

③ 외적 요인의 통제를 시도하지 않았다.

④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⑤ 두 집단 간의 사전, 사후 측정치를 비교하여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44. 내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응적(reactive) 연구방법이다.

② 서베이(survey) 조사에서 사용하는 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연구과정에서 실수를 하더라도 재조사가 가능하다.

④ 숨은 내용(latent content)의 분석이 가능하다.

⑤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모두 적용 가능하다.

 

 

 

 

 

 

45. 단일사례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수의 각기 다른 개입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② 시계열설계의 논리를 개별사례에 적용한 것이다.

③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실천과정과 조사연구과정이 통합될 수 있다.

⑤ 다중기초선 설계의 적용이 가능하다.

 

 

 

 

 

 

 

 

46. 질적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변수중심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② 논리실증주의적 관점을 견지한다.

③ 인간행동의 규칙성과 보편성을 중시한다.

④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한다.

⑤ 관찰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방법을 활용한다.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설계에 해당하는 것은?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시설입소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조사 없이 A요양원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유사한 B요양원 노인들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두 집단의 정서적 안정감을 측정하였다.

 

①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② 정태적 집단비교 설계

③ 다중시계열 설계

④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⑤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48. 질문 내용 및 방법의 표준화 정도가 낮은 자료수집 유형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ㄱ. 스케줄-구조화 면접

ㄴ.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

ㄷ. 심층면접

ㄹ. 비구조화 면접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49. 내적 타당도 저해 요인 중 통계적 회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프로그램의 개입 후 측정치가 기초선으로 돌아가려는 경향

②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가 완전한 선형관계로 나타나는 경향

③ 프로그램의 개입과 관계없이 사후검사 측정치가 평균값에 근접하려는 경향

④ 프로그램 개입 전부터 이미 이질적인 두 집단이 사후조사 결과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

⑤ 프로그램의 개입 전후에 각각 다른 측정도구로 측정함으로써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

 

 

 

 

 

 

 

50. 완전참여자(complete participa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구대상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관찰이 불가능하다.

② 관찰대상과 상호작용 없이 연구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③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고 관찰대상과 어울리면서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④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연구윤리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⑤ 관찰 상황을 인위적으로 통제한 상황에서 관찰을 진행할 수 있다.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조사론 기출문제 정답

사회복지사 1급-제22회-기출문제-정답-사회복지조사론
제22회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조사론 기출문제 정답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인간행동과 사회환경) (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기출문제 및 정답(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사 1급 제22회 사회복지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 및 정답 자료 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시설 거주자의 생활지도, 상담업무 등 우리사회에

exam-of-all.tistory.com

 

반응형